Bare Stage


- 2022 ~ 2023 -
From December 2nd to January 8th

Bare Stage


아트스페이스 호화는 12월 2일부터 1월 8일까지 전병삼의 개인전 《Bare Stage》를 선보인다. 전병삼은 기존의 대상을 사라지게 만들어 입체 및 평면, 영상 등 다양한 매체로 이미지를 재창조하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이러한 작가의 작업은 인간의 제한된 육체로 도달할 수 없는 불가능의 영역에 대한 호기심에서 시작되며, 크게 '접기(Folding)과 '펼치기(Unfolding)'라는 두 가지 방법론 하에 자유롭게 전개된다. 이번 전시 《Bare Stage》에서는 접거나 펼쳐서 우리를 미지의 세계로 초대하는 전병삼의 작업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한다.


전시장에 들어서면 접기(Folding)를 대표하는 작업인 MOMENT 시리즈들을 마주하게 된다. 이 시리즈는 반으로 접은 인쇄한 사진을 모서리 옆면이 보이게끔 사각 프레임 안에 차곡차곡 쌓아 올려, 스트라이프 무늬의 추상적 사진 조각으로 전환한 작품이다. 순간의 기억을 담은 사진은 본래의 이야기가 사라진 채, 일률적인 면과 선으로만 이뤄진 평면화된 조형으로 바뀌며 단정하면서도 이질적인 미감을 선사한다. 한편, 변이된 접기(Folding) 행위로 기존 이미지를 재구성한 시리즈도 만나볼 수 있다. 인쇄물을 접어 정중앙부터 둥글게 감아서 원형의 사진 조각으로 완성한 COSMOS 시리즈는 접힌 이미지의 얇은 단면도 함께 휘어지며 그 크기를 거대하게 넓혀가기에, 마치 끝없이 팽창하는 우주와 닮아 있다. 작가의 작업은 언뜻 보기에 접는 행위로 말미암아 본래의 존재를 지워버리는 듯하다. 그러나 사라져버린 듯한 이미지는 완전히 소멸되지 않고, 모양을 바꿔 신비로운 지층의 단면과도 같은 모습으로 다시금 등장한다. 어떻게 보면 내재했던 질서를 파열하여 새로운 형상을 세우는 전병삼의 Folding 행위는 예술의 목적이자 존재 이유 그 자체라고 할 수도 있겠다.

                         

전시장의 안 쪽에는 선명한 파란색 배경 위에 섬광이 번쩍이는 것 같은 사진 이미지와 무지개 색 그라데이션 화면이 설치되어 있다. 이 두 점의 작품은 작가의 또 다른 방법론인 펼치기(Unfolding)로 제작된 것들이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미끈한 두 평면 위에는 빼곡한 글자와 숫자들이 프린트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전자의 작품은 구약과 신약 성경에 있는 모든 활자를 펼치고 그 중 볼될 ‘복福’을 흰색으로 강조하여 각각의 복福자가 위치한 곳에서 정중앙으로 노란색 선을 그어 집합한 이미지이며, 후자는 원주율을 뜻하는 기호 파이(π)를 소수점 백만 자리까지 풀어내 조형화한 작품이다. 작가는 이와 같이 압축되어 있는 무언가를 극한으로 펼쳐서, 보는 이가 선험적 시간 개념을 초월한 의미와 가치에 대해서 사색하게 만든다. 한편, 접기와 펼치기를 혼재한 시리즈도 있다. 이러한 방법론으로 제작된 작업 LOST는 기존의 형상을 디지털 이미지로 생성한 후 분해, 재조합하여 영상 혹은 영상의 한 화면을 평면으로 인화한 시리즈다. 전병삼은 이런 식으로 이미지를 샅샅이 해체하거나 다시 배열하는 펼치기(Unfolding)의 변주를 통해 다중의 상징을 집약하고자 하며, 관람객은 필연적으로 행간 읽기를 통한 사고의 확장을 경험하게 된다.


이번 전시의 제목 “Bare Stage”는 아무 장치도 없는 빈 연극 무대를 일컫는 말이다. 정확히 말하면 아무것도 없는 텅 빈 공간이 아니라, 무대 장치나 세트를 최소로 하여 관객 각자의 사고의 과정이 구속되지 않게 하는 장소를 의미한다. 그래서 관객은 스스로의 상상력을 활용해 극을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더 나아가 자신의 삶을 투영하여 존재와 세계에 대한 성찰로 귀결하게 된다. 전병삼 또한 일련의 작업 과정을 통해 기존의 맥락을 비우고, 이미지의 구상성을 배제하여 다른 감각과 변화 가능성을 열어둔다. 그리고 이렇게 ‘비어진’ 화면(혹은 조각)은 보는 이로 하여금 은닉되어 있는 의미를 창의적으로 해독하게 만든다. 위대한 현대 연극 연출가 피터 브룩(Peter Brook)은 아무것도 강요하지 않은 채, 다만 ‘질문’이란 것을 상기시키는 것이 살아있는 연극이자 예술이라고 하였다. 한 해가 저물어져 가는 현 시점, 전시 《Bare Stage》를 관람하는 모든 이들이 작가 전병삼이 접고 펼쳐 이룩한 ‘빈 무대’들을 통해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대상 이면의 무수한 가능성과 존재에 대해 질문해 보길 바란다.  




Artspace Hohwa presents Jeon Byeong-sam's solo exhibition 《Bare Stage》, from December 2nd to January 8th. Jeon has been working on re-creating images in various media such as three-dimensional, flat, and video by making existing objects disappear. His work begins with curiosity about the impossible realm that cannot be reached by the human body, and is developed freely under two methodologies, 'folding' and 'unfolding'. In this exhibition 《Bare Stage》, we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the work of Jeon Byeong-sam, who invites us to an unknown world by folding or unfolding.


Upon entering the exhibition hall, viewers can see the MOMENT, a series of artworks that represents the method of ‘folding’. In this series, printed photographs folded in half are stacked one by one in a square frame so that their sides are visible, turning them into abstract photographic sculptures with stripes. Photographs containing the memories of the moment disappear, and the original story is changed to a flat shape made of uniform surfaces and lines, providing a neat yet heterogeneous aesthetic. On the other hand, we can also meet a series that reconstructs the existing image through the mutated ‘folding’. It is the COSMOS, which is completed as a circular piece by rolling up the printed matter in a circle from the center. The thin section of the folded image bends and gradually grows, resembling an endlessly expanding universe. At first glance, the artist's work seems to erase its original existence through the act of folding. However, the image that was thought to have disappeared does not completely disappear, but changes its shape and is reborn as a cross-section of a mysterious stratum. Jeon's act of 'folding', which ruptures the inherent order and creates a new form, can be said to be the purpose of art and the very reason for its existence.


Inside the exhibition hall, there are photographs that look like flashes of light on a vivid blue background and a rainbow-colored screen by gradation. These two works were produced by the artist using another methodology, ‘unfolding’. If we look closely at these two flat surfaces, we can see densely packed letters and numbers printed on them. The former is an image assembled by unfolding all the typefaces in the Old and New Testaments, emphasizing ‘blessing’ in white, and drawing a yellow line from each letter to the center. The latter is a formative work made by using pi (π) to one million decimal places. The artist unfolds something compressed like this to the limit, making the viewer contemplate the meaning and value that transcends the metempirical concept of tim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lso a series made by using ‘folding’ and ‘unfolding’ together: the LOST. This work is a series in which an existing shape is recreated as a digital image, then disassembled and recombined, and a video or a scene of the video is printed on a flat surface. Jeon tries to integrate multiple symbols through a variation of ‘unfolding’, which thoroughly dismantles or rearranges images in this way, and the viewer inevitably experiences an expansion of thinking through reading between the lines.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Bare Stage,” refers to an empty theatrical stage without any equipment. To be precise, it means a place where the thought of each viewer is not restricted by minimizing stage equipment or sets. Therefore, the audiences actively use their own imagination to understand the play, and furthermore, reflect on their existence and the world by projecting their own lives. Jeon also leaves open the possibility of other senses and changes by emptying the existing context and excluding the figurative nature of images, through a series of work processes. And this ‘empty’ screen (or three-dimensional) makes the viewer creatively decipher the hidden meaning. A great contemporary theater director Peter Brook said, “The living play and art remind us of ‘questions’ without forcing anything." Now, as the year draws to a close, we hope that all viewers of the exhibition 《Bare Stage》 will ask questions about the myriad possibilities and existence behind the objects they are familiar with through the ‘empty stages’ created by Jeon Byeong-sam.



© Art Space Hohwa All rights reserved.
©Art Space Hohwa All rights reserved.